본문 바로가기
알뜰하게 살기 위한 지식 💰✨

엔비디아 2분기 실적 '깜짝'은 없었다예상치 상회했지만 주가는 약세…2025년 2분기 리뷰

by 핫모먼트 2025. 8. 28.

 

엔비디아 2분기 실적 '깜짝'은 없었다
예상치 상회했지만 주가는 약세…2025년 2분기 리뷰

AI 대장주, 매출·순이익 모두 ‘플러스’
투자자 기대엔 미치지 못한 ‘호실적’과 시간외 하락의 원인 총정리
💼 엔비디아 2025년 2분기 실적 주요 수치
  • 매출: 467억4,000만 달러 – 시장 예상(461억 달러)보다 소폭 상회
  • 주당순이익(EPS): 1.05달러 – 예상(1.01달러)보다 높음
  • 전년동기 대비 매출 성장률: 56% 증가
  • 순이익: 257억8,000만 달러(59% 증가)
  •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 411억 달러 (예상 413억 달러 하회, 전년비 56%↑)
  • 로보틱스 부문 매출: 5억8,600만 달러(69% 증가)
시장 예상 자체가 워낙 높았고,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대했던 투자자들이 실적 발표 후 차익 실현에 나서며 시간외에서 2.7% 하락(한때 5%까지 하락)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 실적 디테일 & 해설
이번 분기 엔비디아 성장의 중심은 여전히 데이터센터·AI 칩 부문. 중국 수출 제한 가운데서도 1억8,000만 달러 어치 H20 칩 재고를 중국 외 시장에 판매한 효과가 수익 일부를 채웠습니다.
  • 로보틱스 등 신사업 부문은 70% 가까이 성장하며 미래 성장동력을 기대
  • 중국은 H20 칩 수출 금지 영향으로 데이터센터 매출의 일부를 상쇄
  • 3분기 실적 가이던스: 매출 540억 달러(전년 동기 대비 50%↑) 제시
하지만 데이터센터 부문이 월가 기대에 살짝 못 미쳤고, 기대치가 워낙 높았던 관계로 주가에 부정적 반응이 즉각 반영됨.
🌎 엔비디아·AI, 글로벌 증시·산업 영향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는 미국 증시뿐만 아니라 글로벌 반도체·IT시장의 심리를 크게 좌우합니다.
AI 반도체의 절대 강자 위상과 함께, 향후 세계적 AI·클라우드 도입 추세에 최대 수혜주 자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엔비디아 실적에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국내 관련주도 동반 강세
  • 마이크로소프트·메타 등 미국 빅테크도 실적 공개 후 동반 상승세
  • AI 칩 수요, HBM D램 등 동반 호황에 국내 반도체 산업도 수혜
다만 최근 중국의 자국 AI 칩 강자 등장 등으로 엔비디아의 점유율 방어와 실적 성장 유지가 향후 최대 변수로 꼽힙니다.
🧐 투자자 심리와 시장 평가
서프라이즈를 이미 선반영한 주가, 정보기술(IT) 업종 내 밸류에이션 부담, 중국 매출 공백 등 현실적 리스크가 실적 발표 이후 바로 반영됐습니다.
웰스파고 등은 “비중 확대” 투자의견을 유지했지만 실제 정규장 및 시간외에서 주가는 약세를 면치 못함.
캠프리콘 테크놀로지 등 중국발 AI 경쟁 심화, 엔비디아의 H20칩 제한, 정부 수출 제약 등도 향후 실적 변수가 된다는 평가입니다.

 

🔮 전망과 3분기 체크포인트
엔비디아는 3분기 540억 달러 매출 가이던스를 제시했습니다. H20칩 수출 재개, 블랙웰 등 신제품 효과와 AI·로보틱스 결합 매출이 중요 포인트로 부각됩니다.
  • 데이터센터·로보틱스 등 신사업, AI·클라우드 수요 지속 관건
  • 중국 시장 점유율 방어, 글로벌 규제 등 지정학 리스크 지속 모니터링 필요
  • 주가 변동성 심화 구간, ‘실적은 좋은데 놀랍지는 않다’는 냉정한 시장 평가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