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뜰하게 살기 위한 지식 💰✨

청년 행복주택 조건│소득기준 및 신청방법 1분 총정리 (+서울 후기)

by 핫모먼트 2025. 9. 4.

청년 행복주택 조건│소득기준 및 신청방법 1분 총정리 (+서울 후기)

서울·수도권 당첨꿀팁부터 서류·자격·실전후기까지 한눈에!
실제 경쟁률, 임대료, 2025년 자산·소득 기준 모두 포함
청년 행복주택이란?
  • 만 19~39세 무주택 청년, 대학생·취준생·사회초년생까지 대상
  • 공공임대이지만 역세권·생활권 인프라 우수, 임대료는 시세 60~80% 수준
  • 전용면적 16~35㎡ 소형·중형 평형, 최대 6년 거주(신혼부부 최대 10년 이상)
2025년 청년 행복주택의 신청가능 연령·소득·자산 기준은 더욱 완화! 신규단지·재공급도 확대.
신청조건·소득 및 자산 기준
  • 무주택자, 만 19~39세 청년(졸업후 5년 이내, 취준생·예술인 포함)
  • 본인 또는 세대 합산 소득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 이하’(2025년 1인 약 432만원, 20% 가산해 517만원까지 완화)
  • 총자산 2억 5,400만원 이하(자녀/맞벌이는 4억 500만원까지, 신혼부부 추가완화)
  • 자동차 가액 3,803만원 이하(맞벌이·다자녀 4,563만원 이하)
  • 청약통장 없어도 지원 가능, 단 ‘계약 전’까지 청약통장 가입 필수
  • 소득유무 불문(부모 소득·자산 합산 심사, 무직자도 신청가능)
2025년부터 청년주택 소득 기준 ‘중위소득 120%’까지 확대,
맞벌이·다자녀 청년가구도 신청폭 크게 넓어짐.
임대료·보증금·임대기간·평형별 비용
전용면적 월세(원) 보증금(만 원) 관리비(원) 공급대상
16~20㎡ 10~15만 500~1,000 5~6만 1인가구·대학생
21~26㎡ 13~20만 800~1,500 6~7만 청년 단독/타입별
30~35㎡ 17~25만 1,000~2,000 7~9만 신혼부부·우선대상
  • 보증금 조정: 증액시 월세 감소/감소시 월세 증가, 단 보증금이 1억이 넘는 단지도 있어 재정 상황 체크 필요
  • 임대기간: 최대 6년(청년)/신혼부부 10년, 중도 해지 가능(위약금 無)
경쟁률 및 당첨률 높이는 꿀팁
  • 서울 도심(역세권) 소형평형은 10:1~50:1, 인기단지·강남권은 30:1~100:1
  • 중랑, 동대문, 강북구 등 비인기권역·신규단지·재공급 노려 당첨률↑
  • 서울 청년주택, ‘3곳 동시지원’, ‘복수공고’ 전략 활용, 꾸준한 공고 체크!
  • 사회초년생·대학생·거주기간 긴 청년 우선배점, 전입신고 1년 이상이면 가점
  • 경쟁률 높은 곳은 일반공급·우선공급 가리지 않고 랜덤추첨, 2·3지망도 적극 활용
서울 외 인천·수도권 외곽(의정부, 성남 등) 단지는 경쟁률 낮고 당첨확률 ↑, 경험삼아 반복도전 추천!
신청방법, 서류 준비와 절차
  • LH·SH·서울주거포털 청년주택 페이지에서 분기별(3·6·9·12월) 모집공고 확인
  • 온라인 청약이 원칙, 서류(가족관계증명서, 재학·졸업예정증명, 소득·자산증빙 등) 업로드, 청약통장 가입증명
  • 공고별 해당지역 거주·가구구성 배점 필수확인, 당첨자 발표 4~6주 후 입주절차
공고일 기준 소득 있든 없든 ‘기준만 맞으면’ 동등하게 심사(무직자·저소득자도 동등심사).
서울 청년 행복주택 실후기
  • 원룸 월 60만원→행복주택 20~30만원 “실 주거비 반토막, 교통‧시설‧보안 모두 만족”
  • 중랑·강북구 신규 단지, 경쟁률 낮아 “한번에 당첨! 역세권, 생활비 절감”
  • 보증금 500~2000만원, 전입신고·관리비 별도(5~9만원), 후기 대부분 “입주 이후 불만 거의 없고 주거안정감 상승”
  • 난방·옵션·공용편의(택배함, 세탁실) 등 신축시설로 만족도 높음
맺음말 및 꿀팁

청년 행복주택은 서울·수도권뿐만 아니라 전국 대부분의 도시에서 지금도 모집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경쟁률이 높은 곳일수록 반복 지원, 재공급 물량, 그리고 소득·자산 증빙 꼼꼼히 챙기면 당첨확률이 크게 높아집니다.
경제적 부담으로 고민하는 청년이라면 올해 꼭 도전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