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일자리 월급은 얼마? 종류별 급여 상세 비교
공공형 일자리부터 전문형까지
실제 월급, 근무 시간, 신청 조건 한 눈에 완벽정리
실제 월급, 근무 시간, 신청 조건 한 눈에 완벽정리
장애인 일자리사업 개요
- 장애인 일자리는 18세 이상 등록 장애인 미취업자를 대상으로 공공 및 전문 일자리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 주민센터, 복지시설, 노인복지관 등에서 행정지원 및 사회복지 서비스 업무가 가능
- 2025년부터 예산과 참여대상 크게 확대, 더 많은 근로기회와 소득 보장 강화
- 전일제·시간제·복지일자리·안마사·요양보조 등 다양한 유형별 지원
2025 장애인 일자리 종류 및 자격조건
- 공통자격: 만 18세 이상 등록 장애인, 미취업자, 사업 참여 경력 2년 이내(일부 제외)
- 제외: 직장 건강보험 가입자, 사업자등록증 보유자, 정부·지자체 일자리 중복, 연속 2년 이상 참여자 등
- 우대: 특수·대학교 졸업 예정자, 우수 참여자, 수급자 등 (가점 부여)
- 신청방법: 시군구청 방문, 온라인(지자체/복지부 홈페이지) 공고, 신청서류 별도 제출
종류별 근무특징&월급 비교 표
유형 | 근무시간 | 월급 | 주요 업무 |
---|---|---|---|
일반형 전일제 | 주 40시간 (월 209시간) | 2,096,000원 | 행정업무, 복지시설 지원, 주민센터 보조 |
일반형 시간제 | 주 20시간 (월 104시간) | 1,048,000원 | 행정, 복지사무 보조, 사서·우편물 분류 지원 등 |
복지일자리(참여형) | 월 56시간(주 14시간) | 562,000원 | 도서관·숙박·급식·주차 등 간단보조업무 |
시각장애인 안마사 | 주 25시간 | 1,314,000원 | 안마서비스, 경로당·노인복지관 파견 등 |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 | 주 25시간 | 1,314,000원 | 요양보호사 보조, 전문병원 등 돌봄지원 |
- 근무시간·월급은 전국 동일, 사회보험 본인부담금 포함 실지급액 기준
- 교통비·식비, 성실인트·계약 종료 후 추가지원금 등 지방별로 별도 지급 가능
2025년 최저임금 인상(시급 10,030원), 전일제 기준 월 209만원↑! 단일금액 외 추가 인센티브도 존재합니다.
신청방법·필요서류 및 심사 절차
- 필수서류: 일자리사업 참여신청서, 장애인등록증,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증빙서류(필요시), 개인정보동의서 등
- 가점항목: 경력증명서, 졸업예정증명서(특수/대학교), 실적·수상 등
- 신청: 시군구청 복지부서, 또는 모집 공고에 따라 이메일/우편 등
- 심사기간: 보통 1~2개월, 예산 및 지역 상황 따라 변동
TIP: 모집공고-희망직무-서류 완비-심사-공고-근로계약-배치 순! 우수 참여자는 인센티브+정규직 전환 지원금 등 추가 혜택 있음.
실전후기&활용팁
- 참여자 후기: “일정 월급에 더해 성실근무 인센티브·교통비 추가 지원” “경험 쌓아 일반기업 취업까지 연결, 각종 상담·수당까지”
- 복지일자리는 단시간·보조업무, 사회참여 경험에 최적
- 안마사·요양보조는 전문직 진로개척이나 장기근무에 유리
- 연속 참여 제한, 중간탈락·중복지원 등 유의(사업별 규정 각기 다름)
맺음말 및 추가정보
2025년 장애인 일자리사업은 근무시간·월급이 전국 일괄 적용되며, 전일제 기준 월 209만원 이상 안정적 소득이 제공됩니다.
공공형뿐 아니라 전문화된 직무까지 참여 가능, 성실 근무·특별 인센티브로 실제 수령액이 늘어나는 경우도 많으니 반드시 모집 시기와 신청요건을 확인해 기회를 챙기시길 바랍니다.
더 많은 정보와 공고는 보건복지부 장애인일자리 홈페이지나 지자체 복지부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알뜰하게 살기 위한 지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4등급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지원금 및 신청방법 완벽정리(2025 최신) (0) | 2025.09.03 |
---|---|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자격 및 1유형·2유형 수당, 30초 총정리 (0) | 2025.09.03 |
긴급복지 주거지원 자격 및 신청방법 이것만 알면 됩니다 (2) | 2025.09.02 |
소상공인 폐업지원금 신청방법│400만원 조건‧서류‧절차 총정리 (0) | 2025.09.02 |
본인부담 상한제 소득분위 확인방법│기준·건강보험료 한눈에 총정리 (0) | 2025.09.02 |